雪国과 타임슬립 그리고 나니아(Narnia)

国境の長いトンネルを抜けると雪国であった。夜の底が白くなった。信号所に汽車が止まった。

The train came out of the long tunnel into the snow country. The earth lay white under the night sky. The train pulled up at a signal stop.

지방의 경계에 있는 긴 터널을 빠져 나가자, 설국(雪國)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진 듯했다. 신호소(信號所)에 기차가 멎었다.

1972년 자살한 카와바타 야스나리 선생의 침대 옆에서 발견된 “설국”의 초본. 당시 “이즈의 무희”를 영인본으로 판매하는 기획을 진행되었으나, 카와바타는 독자적으로 “설국”의 초본(抄本)을 만들고 있었다. 카와바타의 “설국”에 대한 애착을 엿볼 수 있다.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 나는 중학교 2학년.

첫문장에서 나는 완전히 소설에 빠져버렸다.
솔직히 첫문장을 제외하고는 별로 기억이 안날 정도로 강력한 문장이다. (중2의 소년이 이해하기 힘든 난해한 주인공의 이야기때문이기도 했지만). 짧은 문장이지만 어쩐지 내겐 가을에서 겨울로 접어드는 설국의 반대쪽 터널의 입구에서부터 길고긴 암흑의 터널안, 그리고 갑자기 밝아 진 곳에서의 거대한 눈(雪)의 파노라마까지 읽으면 1초 이내의 문장이지만 내갠 꽤 길게만 느껴진다. 몇 번이고 반복해 봐도 내가 떠올리는 이미지는 수십분에 이르기도 한다.

마치 다른 차원의 세계로 들어가는 설레이면서도 약간은 두려운 느낌. 밤이였지만 두번째 문장과 같이 분명 “밤의 밑바닥이 하얗게” 보였을 것이라 느껴진다.그리고 추운 설국의 밤공기, 그 냄새 그리고 기차가 완전히 멎자 세상의 모든 소음은 눈이 철저히 흡수해 버린 것 같은 그 느낌. 닭살이 돗을 정도로 생생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멀까?

 

제법 겨울이 추웠던 (어떤 날은 영하 30도까지!) 도시에서 대학을 다녔던 나는, 겨울이면 자주 이 광경을 떠올려보곤 했다. 직장생활을 하고 또 귀국했을 때도 소설처럼 온 세상이 눈으로 덮인 경험을 별로 해 보지 못했다. 지구 온난화 탓일까? 우연히 30대 중반이 되서야 만난 C.S. Lewis의 The Chronicles of Narnia (나니아 연대기)의 첫 번쨰 이야기 “The Lion, The Witch and The Wardrobe”의 도입부를 읽다가 “설국”의 그 강렬한 느낌이 떠 올랐다.

Looking into the inside, she saw several coats hanging up – mostly long fur coats. There was nothing Lucy liked so much as the smell and feel of fur. She immediately stepped into the wardrobe and got in among the coats and rubbed her face against them, leaving the door open, of course, because she knew that it is very foolish to shut oneself into any wardrobe. Soon she went further in and found that there was a second row of coats hanging up behind the first one. It was almost quite dark in there and she kept her arms stretched out in front of her so as not to bump her face into the back of the wardrobe. She took a step further in – then two or three steps always expecting to feel woodwork against the tips of her fingers. But she could not feel it.

“This must be a simply enormous wardrobe!” thought Lucy, going still further in and pushing the soft folds of the coats aside to make room for her. Then she noticed that there was something crunching under her feet. “I wonder is that more mothballs?” she thought, stooping down to feel it with her hand. But instead of feeling the hard, smooth wood of the floor of the wardrobe, she felt something soft and powdery and extremely cold. “This is very queer,” she said, and went on a step or two further.

Next moment she found that what was rubbing against her face and hands was no longer soft fur but something hard and rough and even prickly. “Why, it is just like branches of trees!” exclaimed Lucy. And then she saw that there was a light ahead of her; not a few inches away where the back of the wardrobe ought to have been, but a long way off. Something cold and soft was falling on her. A moment later she found that she was standing in the middle of a wood at night-time with snow under her feet and snowflakes falling through the air. 

막내 루시(Lucy)가 숨바꼭질의 은신처로 선택한 거대한 옷장. 그 한 치 앞을 내다 볼 수 없는 거대한 옷장 속에서 한걸음 한걸음 내딛는다. 옷장의 뒷쪽 벽에 부딛치지않게 그 어두운 곳에서 루시는 두 팔을 앞으로 휘 쳐어가며 천천히 걸어가고 있다. 금방 평평한 옷장 뒷벽에 다다를 것이라 예상했던 루시가 “이건 정말 거대한 옷장일 거야!”라고 할 때, 발 바닥에서 뽀드득 (눈을 밟는..) 하는 느낌! 그래도 바닥에 떨어진 좀약을 밟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딱딱한 옷장의 마룻 바닥에서 부드럽지만 추워진 지면을 느꼈을 때, 루시의 얼굴에는  고요히 밤 숲의 눈발이 떨어진다. 바로 나니아 그러니까 상상의 “설국(雪國)”이다. 이 설국은 소설의 설국보다 훨씬 더 고요했을 것이다. 이상하게 숲의 한 가운데 놓여있는 가스등(lamp Post)를 발견할 때까지 한 10분정도 걸렸을까?

내가 소설의 도입의 첫 글자를 읽어서 그 문장의 구둣점(period)이 눈에 들어 올때까지 나 역시 약 10분의 기차 여행을 즐긴다. 늦가을의 터널 입구로 빨려 들어간 후, 긴 암흑, 그리고 갑자기 터널의 끝에서 “확~”하고 나타난 설국. 신호소에서 기차가 멈추고 차갑지만 고요한 설국의 밤공기를 주인공과 함께 마시기까지 10분의 즐거운 여행이 언제나 기다린다.

Tagged , , , , , , , , , , , ,

Leave a comment